연구요약
|
○학문 발전에의 기여
본 연구는 인문 사회학 분야, 이공계 분야, 의학 분야 및 예술 분야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모여 학문특성별로 아름다움에 대한 연구를 진행 및 분석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발판으로 다양한 학문분야들이 동일주제를 다각도에서 조명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름다움의 과학에 대한 대내외적으로 가장 역량 있는 융합연구 집단을 양성하여, 아름다움에 대한 기반연구와 실용화 지원을 위한 학문적 토대가 마련된다.
○사회발전에의 기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미적경험 연구결과는 자폐 미술치료 개발에 활용가능하고, 청소년의 미적체험 활성화 패턴 분석은 청소년기 미술교육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어, 사회안전망 강화 등 사회발전에 기여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심미성 중심의 사용자 경험(UX) 평가방법론은 기존의 사용성 및 효용성 기반의 평가방법론에서 제공하지 못한 다른 차원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ICT 분야를 비롯해 많은 산업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 경쟁력 제고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이다. 창조적 디자인 생성 시스템은 작은 노력으로 독특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제품 등의 대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인력양성 방안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보조원들은 학문적 기초능력을 바탕으로 본 연구주제에 매우 높은 관심을 갖고 참여를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보조원들을 포함하여 앞으로 5년 내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인력들을 참여시켜 양성하고, 본 연구와 같은 융합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직・간접적 훈련을 받고자 한다. 또한 이들을 통하여 더 많은 연구들에 대해 학문적 융합을 도모하고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고급인력으로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각종 강의 및 심포지움을 개최하고, 아름다움 연구결과와 관련된 저술활동을 계속할 것이다. 아름다움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을 위해 과학적 연구를 통해 입증된 본 팀의 연구내용들을 토대로 일반인들에게 가장 잘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저서를 출판하여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
선정년도
|
2013 |
연구기간
|
2 년 (2013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
연구책임자
|
이승복
|
연구수행기관
|
충북대학교
|
공동연구원 현황
|
손정우(충북대학교), 정우현(충북대학교), 윤경현(중앙대학교), 조경자(충북대학교), 한승기(충북대학교), 이건명(충북대학교), 박수진(연세대학교), 지상현(한성대학교)
|
원문
|
[원문으로 이동]
|
리포터 by 관리자
[저작권자 한국연구재단 융합연구총괄센터 ,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