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설 입소 노인의 지원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인문영역과 공학영역이 함께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IT기술이 노인복지분야로의 활용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로 인문영역에서는 문헌고찰 및 입소노인의 직간접적인 수발인력을 개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수요도를 파악하였으며 공학영역에서는 이를 통해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에 대한 활용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입소노인들의 물리적 환경 적응에 대한 내용으로 특정공간 방향 찾기, 시설직원 익히기, 특정가구, 물건의 배치 익히기, 노인의 일상적인 행동 돕기를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수요도를 파악한 결과 시설직원 익히기, 특정공간 방향찾기, 노인의 링상적인 행동돕기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아 이에 대한 스마트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발은 노인의 여러 특성 및 선호도, 가독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제작 후 이러한 콘텐츠를 시설입소노인에게 적용가능한지에 대하여 시장상황에 대한 조사와 요양보호사에 대한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물리적 환경 적응에 대한 부분의 경우 수요조사에서 다른 건강, 가족, 여가 등에 비해 높은 영역은 아니었으나 이들의 입소후 시설적응에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나 시설입소노인의 건강상태와 교육상태, 스마트 기기 활용도 등을 감안하였을 때 개발된 내용의 적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도를 높이거나 요양보호사를 통한 간접적인 접근 등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