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인기검색어
1 1 1
2 HubCon 1
3 융합연구 6
4 융합 3
5 faq 2
6 cj100 2
7 노영희 1
8 웰다잉 2
9 동향분석 3
10 성학십도 5
융합연구사업
융합연구과제 모음
개별 연구팀 연구활동 안내
프랙탈 이미지를 이용한 미적 경험의 과학적 분석
뉴스등록일시 [2017-11-30 12:28:34]

 

연구요약

 

 1. 프랙탈 이미지의 구조분석:
Mandelbrot의 수리 함수에서 몇 가지 변수를 조작하면 그 이미지에 다양한 변형을 줄 수 있다. 프랙탈 이미지에 대한 공간적 구조 분석은 공간 주파수 분석, 프랙탈 차원 분석, 공간 구조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수행한다.
공간 주파수 분석은 프랙탈 이미지를 이차원 함수로 구성하며, 이를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공간 주파수 특성을 구하고, 공간 주파수의 상대적 크기와 그 지수적 특성에서 공간적 복잡성을 정량화하는 것이다. 프랙탈 차원 분석은 프랙탈 이미지를 바둑판과 같은 이차원 객자로 나눈 후에 그 객자의 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법칙에서 프랙탈 차원을 계산한다. 공간 구조의 네트워크 분석은 이차원 객자로 나누어진 프랙탈 이미지에서 연결선을 검토하는 작업이다. 공간 구조의 각 격자점에 대한 모든 연결도(K)를 구하고, 이로부터 모든 격자점 사이의 연결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로부터 연결도 분포도 특성을 분석하고 그 지수적 특성에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밝힌다.

2. 프랙탈 이미지 감상과 시각적 속성:
프랙탈 이미지 감상과 시각적 속성에 관한 연구는 공간특성과 미적 요소 비교 분석, 아름다움 지각에 미치는 자극 제시 시간의 효과, 아름다움 지각에서 시각속성의 순응 효과로 나누어 수행한다.
미적 요소에 대한 분석은 연구 1에서 구한 공간적 특성의 세 가지 지수와 각 프랙탈 문양에 대한 선호도, 반응도와의 상관 관계를 구한다. 세 가지 공간지수를 유지하는 무작위 프랙탈 이미지를 비교 검토할 것이다.
공간주파수, 대비, 밝기와 아름다움에 관한 연구에서는 프랙탈 이미지를 밝기, 대비성 차원에서 변형시킨 이미지(실험 2-1), 프랙탈 이미지를 공간주파수 차원에서 변형시킨 이미지(실험 2-2)를 사용하여 아름다움 판단 뿐 아니라 선호에 대한 평정도 측정하여 두 측정치의 값을 비교하여 살펴본다.
아름다움 지각에 미치는 자극 제시 시간의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제시 시간을 제한하거나 반응시간을 측정한다. 얼굴 표정에 대한 판단은 10~50 msec 정도의 아주 짧은 시간동안에도 가능하다. 이는 사회적 장면에서의 중요성 때문이다. 얼굴이 아닌 시각 자극에 대한 미적 판단에서도 이러한 신속한 판단이 가능하다면, 사회적인 작용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자극은 연구 1에서 사용되었던 프랙탈 이미지 중에서 공간주파수와 대비, 밝기 차원에서 변화시키지 않은 이미지를 사용한다.
공간주파수나 대비 차원에서 변형시킨 자극에 순응을 시키면 아름다움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아 미적 경험에 공간주파수나 대비와 같은 기본 시각 속성 차원이 관련되어 있는지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자극은 실험 2-1, 2-2에서 사용되었던 자극 중에서 변화시킨 이미지를 순응 자극으로 사용하고 변화되지 않은 이미지를 아름다움을 평가하기 위한 자극으로 사용한다. 순응자극 제시 후 나오는 평가 자극에 대해 7점 척도로 반응하게 한다.

3. 프랙탈 이미지 감상의 신경생리학적 이해:
어떤 종류의 미학적 경험이든 뇌의 시각 영역이 활발하고 건강하게 관여하여야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영상연구로 미학적 경험의 신경생리학적 이해를 시도한다.
공간주파수와 대비에 관한 연구에서는 실험 2-1에서 사용하여 검증된 프랙탈 이미지 중에서 선호도가 높은 자극과 낮은 자극을 제시하고, 프랙탈 이미지에 대한 미적 경험을 하는 동안, 활성화 되는 뇌 영역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미적 경험에서의 차이로 인한 뇌 영역에서의 활성화 강도 변화나 영역 크기의 변화로 측정하여 볼 것이다.
자극 제시 시간의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자극 제시 간격을 아주 짧게 주었을 때의 미적 경험과 충분히 긴 시간동안의 경험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변화를 비교해볼 것이다. 제시 시간 간격의 변화로 인한 미적 경험에서의 차이를 뇌 영역에서의 활성화 강도 변화나 영역 크기의 변화로 측정하여 볼 것이다.

 

선정년도

 2009

연구기간

 10 개월 (2009년 05월 01일 ~ 2010년 02월 28일)

연구책임자

 이승복

연구수행기관

 충북대학교

공동연구원 현황

 한승기(충북대학교), 윤장노(충북대학교), 박수진(연세대학교), 한재현(연세대학교), 정우현(충북대학교)

원문

 [원문으로 이동]

리포터 by 관리자
[저작권자 한국연구재단 융합연구총괄센터 ,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 소스보기 
목록
- 이전글 : 발효문화의 창출과 확산 - 발효음식에 담긴 인간, 자연, 문화에 대한 학제간 융합연구 2017-11-30 12:26:57
- 다음글 : 이주민의 사회적 적응, 초국가적 정체성과 유연한 시민권에 대한 연구 2017-11-30 12:30:48
전체목록
번호 제목 등록인 등록일 추천수 조회수 비고
265 2021년의료기관이 공공성과 수익성의 관계 분석...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107 1405
264 2021년서술형 문항의 빠른 평가와 피드백을 위한 범용...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129 1483
263 2021년인공신경망 기반의 레그테크 강화학습 알고리즘 ...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35 640
262 2021년미래의 도시 공동체를 위한 인터싸이언스 - 환대...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111 1282
261 2021년노년층 면역 강화와 우울 극복을 위한 노마드 오...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66 658
260 2020년센서 알고리즘을 활용한 효과적인 팀 상호작용 ...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86 1295
259 2020년고령운전자의 안전과 삶의 질: 빅데이터 기반 사...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55 746
258 2020년IoT 정밀 측위기술 및 공간분석이론을 적용한 유...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55 838
257 2020년ICT 융합을 통한 지역사회 우울증 예측과 해소방...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87 907
256 2020년노인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시스...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55 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