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노인의 회복탄력형 재활체조개발과 메디컬센서노드의 지속가능한 모니터링 적용탐색을 위하여 크게 세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일상생활의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병상노인들의 신체 기능적, 심리적 배경을 조사하여 시대의 요구와 건강학적 재활체조의 의미를 규정하며, 실증분석을 통해 병상노인의 맞춤형 재활체조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전문가 의견을 수립하여 개발된 재활체조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셋째, 메디컬센서노드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모니터링의 적용탐색을 실시하여, 메디컬센서노드 활용을 통한 보다 효과적인 재활체조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본 연구과제의 아젠다 도출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인구고령화로 인해 진행되는 다양한 노인성 질환의 증가를 회복탄력성 재활체조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신체적 기능적 회복 및 유지 및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더 해주며, 메디컬센서노드를 이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관련시설의 자동화 및 요양보조인력의 관리, 이용자의 건강상태와 신체활동 실천률의 증가시킴으로 나아가 회복탄력성을 통한 성공적 노화의 긍정적 효과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노인의 회복탄력형 재활체조프로그램의 개발과 메디컬센서노드를 이용한 지속적 모니터링의 적용탐색’을 위해 융복합적 범위는 다음의 4개의 분야로 구분하여 실행한다. 첫째, 노인의 회복탄력형 재활체조개발을 위해, 일상생활을 부분적으로 타인에게 의존하는 병상노인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징, 질병적 요인, 신체 기능적 특징, 심리적 특징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이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 될 것이다. 이를 배경으로 재활체조를 상지의존운동과 하지의존운동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재활체조프로그램 개발은 체육인문분야를 중심으로 실행되며, 그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심리적변인인 주관적 안녕감, 회복탄력성과 신체적 변인으로 도수검사기능, 일상생활척도를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재활체조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 할 것이다. 이때, 체육인문분야와 물리치료분야의 참여에 의해 검증 할 것이다. 셋째,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아젠다 도출을 위해 연구에 참여한 4개의 분야에서 병상노인을 위한 재활체조프로그램의 개발 배경과 목적, 그리고 개발된 재활체조프로그램의 효과적인 보급과 활용방안을 위한 컴퓨터 공학과 의공학의 메디컬센서노드의 도입, 적용과 탐색을 논의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