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1. 연구내용
(1) 고령인구의 육체, 정서, 사회관계, 미디어 이용의 현황 조사
(2) 고령인구의 힐링TV에 대한 잠재 수요 및 미래 수요 조사
(3) 힐링TV의 경로당 공동체 생활양식과 문화 변화 가능성 조사
(4) 힐링TV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등 IT 기술공학적 피드백 및 해결 방안의 모색
(5) 힐링 TV의 사전-사후 효과 측정: 힐링 TV 도입이전과 이후의 노인들의 육체적 활력, 정서적 행복, 사회적 유대관계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6) 추후 2,3 단계에서 힐링TV의 본격적인 개발을 위한 연구 의제 도출
2.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최초의 한국형 경로당 리빙랩(Living Lab) 연구방법을 통해 공동체형 힐링(Healing) TV의 사회문화적, 공학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 경로당 리빙랩 2곳 운영/ 시험적 힐링TV 설치/ 사전사후 효과 측정/ 정기적 피드백 심층인터뷰
3. 예상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힐링 TV’는 노인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제약하는 고부담, 지역적, 신체적 불리함, 무관심, 비활용성, 고립((Amaro & Gil, 2011)을 극복하고 노인 개개인의 능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저렴하고, 쉽게, 어디서나, 흥미롭게, 지속적으로, 그리고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구현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