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1. 연구의 필요성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학교체육활동을 통한 신체활동과 스포츠 활동 참여는 학생들의 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왔다(조욱상, 김재원, 2012).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기존의 학교체육활동을 교수학습방식과 수업내용의 변화 없이 적용하였고, 학교체육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정서순화에 관여하는 뇌기능과 뇌 구조 발달에 갖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이용된 평가도구들이 신뢰도를 판단하기 어려운 것들이었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실질적인 활용에 무리가 있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학교체육과 뇌과학 분야 전문가 집단간의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학교체육활동의 내용체계와 운영방식을 재구성하여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정서순화를 유도하고,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법(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뇌기능 및 뇌 구조 변화를 측정하며 그 결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1) 연구가설
① 학교체육활동을 통한 다양한 신체활동은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두뇌 발달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② 규칙적인 학교체육활동 참여는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정서순화와 폭력성향 감소를 유도할 것이다.
③ 선행연구에 의해 검증된 신체활동을 기반으로 설계된 학교체육활동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학업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뇌구조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2)연구방법
(1)연구대상자
수도권에 위치한 10개 중학교 학생 중 학교부적응 학생으로 판단되는, 학업성취도가 하위 30%이하이고, 과거 학교폭력 가해자 경험이 있으며, 품행장애가 있는 학생 60명(남학생 30명, 여학생 30명)을 본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학교 교사들의 추천을 받아 선정된 60명의 연구대상자 학생 중 30명(남학생 15명, 여학생 15명: 실험집단)은 방과 후 본 연구를 위해 설계된 학교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나머지 30명(남학생 15명, 여학생 15명: 통제집단)은 본 연구의 학교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도록 통제할 것이며, 통제집단의 효과적인 통제를 위하여 통제집단학생들이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파악할 수 없도록 blind 기법을 이용할 것이다.
(2)연구절차
①문헌고찰 및 전문가 회의:
논문검색 데이터베이스인 SPORTDiscus, MEDLINE, PubMed를 이용하여 검색된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 분석을 통해 청소년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정서순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의 종류와 그 활용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정서순화에 관한 전문가 집단인 신경정신과 전문의들과의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의학적으로 밝혀진 신체활동과 학업성취도 향상 및 정서순화와의 관계에 대한 토론을 실시하고 토론내용을 본 연구를 위한 학교체육활동을 설계하는 데 적용하게 될 것이다.
②학교체육활동의 설계 및 적용:
문헌고찰과 전문가 회의를 통해 얻은 정보를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서순화에 관여하는 뇌기능 및 뇌 구조 발달에 유의미한 효과가 기대되는 신체활동을 선정하고 이를 적절하게 교육할 수 있는 체육교육모형을 수업에 활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교육모형들의 교수학습 체계 특성과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학교체육활동 지도를 위해 책임감 모형(Teaching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TPSR])을 활용할 것이다.
③자료수집:
학교체육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후 본 연구에 참여한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뇌발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촬영을 실시하고 촬영결과에 대한 전문가 판독을 의뢰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학교체육활동의 효과에 대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참여 학생들의 생활기록부 내용을 수집하여 학업에 대한 태도 및 성취도, 그리고 정서순화와 관련된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것이다. 또한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은 자료수집 기간중 학교체육활동을 직접 지도하고 면밀히 관찰하여 연구대상 학생들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것이다.
④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양적, 질적 자료분석방법이 동시에 적용될 것이다. 수집된 자료 중 학생들의 뇌기능, 뇌 구조 변화에 관련된 객관적인 수치는 Repeated Measure ANOVA와 Correlation Coefficient 기법으로 분석될 것이다. 또한 심층면담, 생활기록부 및 수업관찰 내용은 질적연구방법인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8)방식에 의해 분석되어 통계분석 결과와 함께 본 연구의 성과를 논의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