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 추격기와 탈추격의 기술·사회 시스템을 분석하여 한국형 기술혁신의 고유성을 도출하고 새로운 성장모델을 모색함 • 탈추격 국가별, 산업별 다양성 탐색 및 시스템 전환이론 확장을 시도함 • 조직 및 제도적 경직성, 시스템 전환 이론 리뷰와 사례 적용을 통해 탈추격 이론의 차별성 및 이론적 확장 탐색 •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 혁신 주체의 특성, 기능별 루틴, 제도화 과정 및 메커니즘 등의 분석을 통하여 시스템 전환의 가능성 및 한국형 탈추격 모델 고안 및 사회-기술 시스템 설계 ○ 후발국 입장에서 전환기 환경, 동학의 이해와 전환을 위한 전략의 도출 • 후발국의 자본주의, 성장패턴 및 제도주의 이론연구 및 주제별 탈추격 사례 분석 바탕의 전략 도출 • 연구자들의 공동연구를 기획하여 융합 연구 촉진하고, 국내외 전문가 네트워크 강화 및 이의 활용을 통해 탈추격학의 기반 마련 및 연구 결과 확산 ○ 1·2·3차년도 탈추격연구센터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음 • 8편의 SSCI 논문 게재·게재확정, 13편의 학진 등재지에 논문 게재확정 및 추가 2편의 논문 게재 - Impact Factor – Scientometrics(2.13) Urban Studies(1.28) World Development(2.08) Government and Policy(1.16) • 지식확산을 위하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차 저서 출간 완료 및 2차 저서 출간 계획 중 - ‘추격형 혁신시스템을 진단한다’, 및 ‘추격을 넘어 탈추격의 명암’(가제) •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22회 이상의 탈추격 연구 성과 발표 - DRUID, GERPISA, User innovation workshop, 기술경영경제학회, 기술혁신학회, 한국사회학회 • 국외적으로 저명한 학자 9명을 초청하여 총 7회의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였음 - Mowery(UC Berkeley, USA), Mathews(Macquarie Univ. AUS), Radosevic(UCL, UK), Wong (NUS, Singapore), Chen(CIER, Taiwan), Pei-Chang(CIER, Taiwan), Kim(Ackland, NZ) • 총 4회의 국내외 학술대회 Special Session와 Round Table 후원 및 개최 - 국제 혁신 클러스터 학회, 한국기술혁신학회, 기술경영경제학회 • 연구 내용 확산 및 대중화를 위한 공개 심포지엄 및 융합 포럼 개최 - 탈추격 연구센터 공개세미나(14.07.25) 및 ICT 인프라 및 지식 미디어 워크샵(14.06.24) • 13명의 국내 관련 전문가 및 외부강사 초청 세미나 개최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국민대, 강원대, 제주대, 목포대, 한국화학연구소, ETRI, 에스콰이어 • 3 차례의 교차 강의 제공 - KAIST(수강생 20명), 고려대학교(수강생 50명), 충남대학교(수강생 40명) • 연구기관, 대학교, 대중매체, 강연회, 포럼 등을 통한 10회 이상의 강연 수행 - Innovation Conference Taiwan, 기술혁신포럼, 고려대학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토요과학강연회, 한국과학기술 교육 및 연구개발정책 포럼, ADD, KOICA, STEPI, 대만 경제 기술처 등 • 2014.08.31까지 연구진 전원이 참여하는 정규 워크샵을 총 25회에 걸쳐 개최하였음 •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SCI 저널 Special Issues 추진 및 게재 확정 • 탈추격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8회의 외부 기고문 기고 - 월간 기술과 경영, KRX, 과학기술정책, 전자신문, 포럼 글로컬, 세종 이코노미, 프레시안 • 지식확산을 위한 탈추격 센터 홈페이지 구축: 현재 회원수 114명을 기록 - http://cafe.daum.net/postcatchup • 추가 연구를 위한 기업의 특허 및 논문 데이터 베이스 구축 - SCOPUS, USPTO를 중심으로 기업별·기술분야별·학문분야별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