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1. 기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다국어 확장
본 연구책임자의 선행 프로젝트를 통하여 이미 방대한 규모의 '한‧일 비언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 새롭게 중국어 언어 정보의 태깅(tagging)과 중국어 특유의 이미지를 추가하면서 기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수정‧보완하고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중‧일 각국 문화 스키마의 차이점과 공통점이 발견될 수 있다.
한국, 중국, 일본은 모두 같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기 때문에 공통문화를 공유할 개연성이 매우 높다. 반면에 역사적 문화적 배경의 차이는 서로 다른 생활습관 제도 관습 등 서로 차별화된 문화를 낳았고 언어는 이러한 각국의 상이한 문화를 그대로 반영한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가 표출된 형태가 언어라고 할 수 있고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 명사 레별의 사물(objects)은 물론, 예를 들어 인사를 하는 방식, 밥 먹는 행동, 웃는 방식, 사과하는 방식 등은 그 나라의 문화적 사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년이라는 제한된 연구기간을 감안하여 식습관 등 각국 문화 스키마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일상생활 관련된 기본 동사 중심의 문화 이미지 프레임의 구축에 우선 집중한다.
2. 텍스트 기반 문화 요소 추출 및 문화 스키마 비교연구
본 연구의 문화 이미지 프레임을 효과적으로 선정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언어 정보와 이미지 사이에 연관 정보가 필요하다. 이 연관 정보는 문화 이미지 프레임 구축 대상 단어를 선정하거나 인포먼트 그룹의 이미지 프레임 선택과정에서 참조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각 언어의 대용량 텍스트 코퍼스를 분석하여 코퍼스에 반영된 문화적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발견해낸다.
대용량 텍스트 코퍼스에서 발견된 각 언어 특유의 문맥정보를 바탕으로 방대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화 스키마를 가장 잘 반영한 ‘문화 이미지 프레임’을 선정함에 있어서 구축자의 주관을 최대한으로 배제하기 위하여 인터넷 기반의 설문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각국의 인포먼트 그룹의 실시간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선정 방식을 취한다. 본 프로세스의 장점은 초기 선정된 문화 이미지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닌 신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실시간으로 투표 및 결과를 조회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 시점의 최적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국의 다양한 인포먼트 그룹을 대상으로 대표 이미지를 선정함으로써, 개발자 또는 소수의 주관적인 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3. 외국어 학습모형 연구 및 개발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되는 문화 이미지 프레임은 다 각도의 외국어 학습모형 개발 자료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최근 스마트 폰의 대중화를 감안하여 언제 어디서나 본 연구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한‧중‧일 사용자가 문화 스키마가 반영된 이미지 프레임을 통하여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를 습득하고 해당 국가의 문화적 차별성을 경험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시험 개발한다. 본 씨앗형 연구에서는 ‘다국어 이미지 사전’(가칭)을 구현할 것이다.
본 ‘다국어 이미지 사전’은 입력된 단어에 대한 단순한 단어 의미의 이미지 검색 결과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설문 통계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문화적인 차이도 함께 나타나는 다중언어 문화 이미지 프레임 화면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먹다’라는 단어를 검색하였을 때 ‘설문 통계 인터페이스’에 설문결과가 존재하면 이를 알려주는 아이콘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터치하면 각국 문화 스키마의 차이를 반영한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이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검색 기능 이외에 새로운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사용자는 인터넷 또는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에서 이미지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도 있고, 자신이 직접 찍었거나 제작한 이미지를 등록할 수도 있다. 여러 이미지들 중에서 주제어(표제어)를 시각적으로 가장 잘 나타내는 전형 이미지(‘prototype image’)를 선별함으로써 단어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채득할 수 있는 교육용‧학습용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