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본 연구는 패션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패턴과 심리유형, 상품이미지 분류기준을 포괄적으로 반영한 패션상품에 특화된 상품추천정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모바일 기기와 위치기반서비스 (l-ocation-based service) 기술을 통해 패션점포 내 정보제공의 상황관련성과 상호 작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개인화된 맞춤화 쇼핑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아래의 학문적, 산업적, 연구참여 인력의 양성, 새싹사업으로의 연계가능성의 측면을 예상한다.
(1) 학문적 측면: 첫째, 본 연구는 IT와 패션의 융합의 범위를 확대시키고 그 효과를 체험마케팅 이론을 도입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할수 있으며, IT와 패션산업에서의 서비스 융합을 통해 유통환경에서 4E (Education, Entertainment, Esthetic Escapist)를 향상시킬수 있다고 본다. 기존의 IT와 패션산업의 융합이 대부분 기술적이거나 기능적인 측면만의 융합인 반면, 본 연구는 소비자 체험에서의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 소비자의 교육적인 측면까지도 포함하여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체험마케팅을 실증적으로 규명할수 있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는 패션상품에 적합한 쇼핑추천 서비스를 제안하고 이를 위해 기반요인으로 소비자 심리유형과 상품이미지, 소비자 구매이력 분석기준으로서의 상품선택기준, 그리고 상황요인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소비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패턴을 발견,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할수 있다.
(2) 산업적인 측면: 첫째, 패션 유통업체의 관점에서 소비자에게 서비스의 맞춤화를 구현할 수 있는 실시간 맞춤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쇼핑추천서비스를 통해서 소비자 니즈 및 반응의 실시간 feedback 반영이 가능하므로 소비자에게 실시간 맞춤형 정보제공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점포 내 쇼핑경험의 고객화가 가능해짐으로써 쇼핑경험의 극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둘째, 점포 관리운영의 관점에서도 매장용 애플리케이션 활용을 통해 재고관리, 상품찾기 등의 업무지원이 가능해짐으로써 매장내에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매장내 판매인력에게는 근무환경개선, 상품교육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후속 새싹형 연구를 통해서 앱 홍보 및 사용전략, 지속적인 관리 및 개발 시스템을 유통업체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새싹형 연구를 통해서는 다양한 패션 브랜드들로 그 적용범위를 넓혀 다양한 패션 브랜드들과 그들의 표적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유통업, 패션, IT를 접목하여 패션 유통산업의 서비스 고객화를 극대화함으로써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참여 인력의 양성: 본 연구는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이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는 융합연구로서 인문사회, 예체능, IT 공대에서의 대학원생, 학부생들에게 학제간 융합연구의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는 대학원생, 학부생들은 차세대의 주역으로서 미래에는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타분야와의 교류 및 상호적이며 상승적인 결합을 통해 학문적으로 산업적으로 다양한 가능성의 기회를 여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학, 교육학, 데이터 마이닝, 무선통신 시스템학, 시각디자인학 등의 전공 학생들에게 본 프로젝트를 통한 융합연구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4) 새싹사업으로의 연계가능성: 씨앗형 사업에서 개발된 추천시스템의 정보와 내용을 바탕으로 새싹사업에서는 다양한 리테일러와 다양한 소비자군를 대상으로 한 실시간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할수있다고 본다. 또한 개발된 앱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고 브랜드 및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앱 홍보방안 (사용전략) 제공, 브랜드 맞춤형 앱 제공 등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