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연구목적>
우리사회가 성폭력 피해자 지원과 예방을 위해 경주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총체적인 서비스 제공과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 구축은 미진한 실정임. 같은 성폭력 피해자라도 서로 다른 정신적 후유증을 나타내므로, 피해자의 다양한 정신건강서비스 욕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피해특성 뿐만 아니라 이들의 온/오프라인 생활세계를 고려한 통합적인 모델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하지만 많은 국내 선행 연구들은 피해자의 특성만을 주목하는 단기추적관찰 연구로, 피해자의 중장기적인 정신건강 문제 발생 기전을 파악하기에 한계를 가짐. 또한 다수의 피해자가 디지털 네이티브인 10대 청소년과 초기 성인기 청년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정신건강을 이해하는 과정에 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 환경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 게다가 성폭력 피해 경험은 피해자의 정신건강문제, 재피해 위험과 밀접한 상관이 있는 위험행동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지만, 사건 이후 피해자의 건강위험행동을 고려한 국내 연구는 전무하였음. 따라서 본 연구는 피해자의 구체적 피해특성을 포함한 가족, 지역사회 환경 평가, 인터넷/SNS 이용 양태, 건강위험행동, 지원 서비스 이용현황을 수집한 정신건강 장기 추적데이터 구축을 목표로 함. 이를 통해 피해자의 정신건강문제 발생기전에 관한 통합적 모델을 구축하고자 함. 이는 효과적인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서비스 개발에 중대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됨. 현재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서비스의 낮은 접근성과 계속이용률은 서비스 이용의 가장 큰 장애물로 지적되어왔음. 따라서 연구진은 개발한 성폭력 피해자에 관한 통합적 이론을 모바일 기반 개입 프로그램에 접목 시도 하여, 피해자 지원에 스마트헬스 기술 도입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함. 이는 성폭력 피해자의 지원 서비스 접근성을 확대시키고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기대됨.
<연구 내용과 방법>
1) 예비연구 결과- 본 연구진은 지난 4년간 보건복지부 정신건강 기술개발지원단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성폭력 피해자 현황과 피해유형별 특성에 대한 기초조사분석연구'를 진행함. 해당연구는 성폭력 사례관리시스템의 피해정보, 서비스 이용양태와 임상심리평가를 병행하며, 장기관찰연구의 발판을 마련함. 현재 216명의 피해자와 255명의 대조군을 모집하고 1차 정신과진단평가를 완료한 상태임.
2) 본 연구는 상기의 예비연구 결과 및 연구 참여자들을 baseline으로 삼아 성폭력 피해특성 유형화와 정신건강수준 관계의 장기적 추적,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활동정보의 수집과 인터넷/미디어 이용양태와의 연관성 분석, 스마트 헬스 앱 개발을 수행하고자 함
3) 이를 위해‘피해특성과 지원서비스 연구팀’‘성폭력 휴유증 기초 연구팀’‘성폭력과 인터넷 연구팀’‘스마트헬스기술개발 연구팀’의 4개 융복합 연구팀을 구성하였음. 해당 연구팀들은 상호협력은 물론, 해외유수대학과의 연계를 기본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성폭력 피해자 지원 실천현장 기관과 외부 유관기관 및 전문가들과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