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연구목적 및 내용
- 고령자들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건강 잠재력 향상 및 기능 회복, 건강 위험요인 대처, 심리적 성취감, 사회 참여의 동기부여 등 고령친화의 사회적인 대안 발굴을 모색함
- 이를 위해 고령자의 상징적 상호작용 된 일상생활 속에서 자아 정량화 된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편의성과 유용성이 확보된 유무형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콘텐츠가 반영된 의료서비스 리빙랩 플랫폼을 설계하고자 함
연구추진방향
고령자의 사회참여 니즈(Needs)별 유형 구분하여 데스크리서치, 현장조사, 관찰조사를 통해 주요 핵심요구사항을 도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고령친화 의료서비스 대응방안 도출함
1단계 연구내용 및 방법(1~8개월 차)
고령자의 경험정의 및 분석에 의한 “자아 정량화(Quantified Self)”의 의료서비스디자인 및 콘텐츠 개발
- 고령자의 인구통계확적, 물리적, 심리적 유형화
- 행위 모니터링 및 위치 추적
- 니즈 유형분석 및 Life-log 분석
- 서비스 수용대상자의 관찰조사(쉐도잉, 사파리, 에쓰노그라피, Zmet)
- 심리적 자기 평가(Psychological self-assessments) 분석
- 고령자의 의료적 경험요소 분석 및 핵심요구사항 도출
- 고령친화의 의료서비스 리빙랩 컨셉도출 및 개발전략 수립
2단계 연구내용 및 방법(9~12개월 차)
고령자의 “총체적 의료 환경(Holistic Medical Environment)”에서 리빙랩의 유무형 접점별 서비스 구체화 및 상용화 여부 검토, 추진
- 서비스컨셉을 기반으로 의료서비스 리빙랩의 사례분석 및 기술검토
- 디지털화 된 신체 정보(Digitizing body info) 데이터마이닝
- 의료서비스의 경험요소별 서비스 플로우 설계
- 학습모델을 통한 Prototype 개발 및 사용성 검증·평가
- 최종 결과물의 상용화 및 법적 리스크 검토
- 우선순위별 최종 서비스 블루프린트 개발 및 운영가이드 수립
- 향후 리빙랩의 지역사회 문제해결 산학연계, 거버넌스 정책 제언 및 성공사례 공유·확산 성과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