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1) 1단계 연구 (1차년도 & 2차년도)
총괄목표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 요소 도출: 주요 요소를 (1) 사용자 (사람), (2) 콘텐츠, (3) 디바이스, (4) 사용자-콘텐츠 인터랙션으로 모델링
도출된 주요 요소들의 실시간적 변화를 다각도로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 연동 플랫폼을 개발하여 평가를 위한 기초 모델 확립
(1-1) 1차년도 목표 및 연구내용
제1세부(커뮤니케이션학 & 인지심리학, 이하 동일): 다중 생체신호 연동측정 플랫폼 개발 1단계
‑ 사용자 현존감에 기여하는 요소들에 대한 단일 생체신호(뇌파, 안구운동, 표정, 땀분지, 심장박동 등) 확인
제2세부(소프트웨어 공학, 이하 동일)
‑ 4가지 핵심구성단위에 대한 경험 요소 도출 및 분류(총 10개) → ‘멀미’와 같은 핵심 경험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상관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한 기초 실험 수행
(1-2) 2차년도 목표 및 연구내용
제1세부: 다중 생체신호 연동측정 플랫폼 개발 2단계
‑ 다중 생체신호 연동측정 플랫폼 구축하고 이 플랫폼을 활용한 측정 데이터와 주관적 현존감 사이의 상관관계 추론
‑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현존감 측정 모델 개발
제2세부
‑ 1차년도에 도출된 경험 요소에 대한 상관관계 모델 수립: 1차년도 수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총 10개의 경험 요소에 대한 측정방법과 핵심 경험과의 연관 관계에 대한 기초 모델 2종 이상 개발 및 검증실험 수행
(2) 2단계 연구 (3차년도)
총괄목표
1단계 연구에서 도출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지식기반 시스템(Knowledge-based system)의 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존감을 높일수 있는 시나리오 개발
(2-1) 3차년도 목표 및 연구내용
지식기반 시스템 모델링
‑ 1단계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식기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모델 개발: 10가지 이상의 요소 간 상관관계를 분류 → 현존감/멀미 등의 가상현실 경험 효과 추론
지식 기반 시스템 검증 실험
‑ 지식 기반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 업그레이드
(3) 3단계 연구 (4차년도 및 5차년도)
총괄목표
2단계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현존감 측정을 위한 표준 실험 환경을 완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함.
(3-1) 4차년도 목표 및 연구내용
지식 기반 모델 고도화 및 데이터 수집
‑ 3차년도에 구축한 지식 기반 모델을 보완하여 4가지 이상의 요소에 대한 추론 모델로 확장 → 검증 실험 데이터 확보
표준 실험 환경 개발
‑ 가상현실 경험 모델링을 위한 표준 실험 환경의 구성 요소들을 지식기반 모델로부터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는 표준 실험 환경 개발. 개발되는 표준 실험 환경은 최소 4가지 이상의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경험 효과를 최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
(3-2) 5차년도 목표 및 연구내용
표준 실험 환경 구축
‑ 4차년도에 구성된 표준 실험 환경에 대한 검증 실험 실시 및 실험 환경 보완: 최소 80% 이상의 실험자에 대하여 유의미한 실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환경으로 구축.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
‑ 표준 실험 환경과 지식기반 모델을 바탕으로 콘텐츠 및 경험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 도출되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5개 이상의 요소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최적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을 포함함.
|
공동연구원 현황
|
김형석(건국대학교), 노수림(충남대학교), 한경훈(부산대학교), 전문기(건국대학교), 김지인(건국대학교), 남윤주(건국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