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한국 암각화 및 선사미술 연구, 학문후속세대 양성기반 구축, 교육프로그램 개발 plan 작성을 맡은 책임연구원 전호태는 한국 암각화 전시․교육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본 개념 설정 및 시행 방안, 한국 암각화의 디지털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 암각화 디지털 박물관 전시 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한국 암각화 디지털 박물관 전시 콘텐츠 연구는 디지털 박물관 설립 및 운영과 관련하여 암각화 및 디지털 콘텐츠 연구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성과와 의미가 있다.
동북아시아 암각화 및 선사미술 자료 수집분석과 민속학적 고찰 작업 plan 작성을 담당한 공동연구원 송화섭은 동북아시아뿐 아니라 동남아시아의 암각화 관련 민속인류학적 연구 자료를 함께 검토하면서 생활상을 복원을 시도하여 디지털 전시에도 응용하는 방안을 도출해내는 성과를 내기에 이르렀다.
선사·고대 미술사 및 고고학 관련 자료수집과 비교 분석 작업 plan 작성을 맡은 공동연구원 강봉원은 한국 암각화와 관련된 각종 고고유적 발굴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해외의 비교 검토가 가능한 관련 유적 연구 성과를 아우르면서 가장 주요한 암각화 유적으로 평가 받는 반구대암각화 및 천전리암각화의 편년작업을 진행하였다.
한국 암각화 및 선사미술 유적·유물 조사, 자료 수집과 정리, 연구 성과 출간 plan 작성을 담당한 공동연구원 이하우는 관련 자료의 수집과 정리에 더하여 암각화 제작 방법에 대한 실험고고학적 접근의 성과를 활용하여 암각화 유적의 디지털 가공방법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하우가 제시한 디지털 가공방법을 적용한 구체적 사례들은 디지털 전시 설계 및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체험 교육 관련 앱의 개발과 활용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암각화 및 선사미술 디지털박물관 시스템 구축 연구 plan 작성을 맡은 공동연구원 강영환은 디지털박물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결작업으로서 전 세계에서 이루어진 각종 디지털 전시기법의 성과와 한계,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강영환의 연구는 실제 한국 암각화 디지털박물관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전제조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시스템 설계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성과와 의의가 있다.
암각화 및 선사미술 DB용 스마트 앱 개발 및 실용화 연구 plan 작성을 담당한 공동연구원 이명준은 이와 관련한 앱 개발 플랜을 작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암각화 DB용 앱에 적용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명준의 성과물은 본 연구의 진행시 성과물의 축적 속도를 높여 예정기간 안에 새로운 단계의 융합 연구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
선정년도
|
2015 |
연구기간
|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
연구책임자
|
전호태
|
연구수행기관
|
울산대학교
|
공동연구원 현황
|
이하우, 강영환(울산대학교), 강봉원(경주대학교), 송화섭(전주대학교), 이명준(울산대학교)
|
원문
|
[원문으로 이동]
|
리포터 by 관리자
[저작권자 한국연구재단 융합연구총괄센터 ,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