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인기검색어
1 웰다잉 7
2 HubCon
3 1 2
4 융합
5 노영희 2
6 융합연구 3
7 동향분석 3
8 cj100 2
9 성학십도
10 faq 5
융합연구사업
융합연구과제 모음
개별 연구팀 연구활동 안내
솔로 이코노미; 식행태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뉴스등록일시 [2017-12-01 16:04:11]

 

연구요약

 

 본 연구목적은 솔로이코노미의 소비경향 및 식행태 변화가 만성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질적, 양적 자료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생활환경 요소의 변화에 따른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내용 및 방법으로는 솔로이코노미의 소비경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통계 및 산업 통계자료를 이용한 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식행태의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한 자료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protocol 작성 및 생애주기별 혼자식사의 추정을 위한 정보 수집 및 기존 데이터 베이스 정리, 국내 자료가 불충분한 경우 식문화가 비슷한 일본 등의 문헌까지 확대 실시한다. 혼자식사의 건강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등 대규모 국가단위 조사 등을 이용하고, 국가 정책 보고서 및 국가 단위 자료를 이용한 식사행태 조사 자료 분석한다. 혼자식사에 대한 식행태의 식태도 및 인식조사를 위하여 대상자 인터뷰 및 설문조사의 질적, 양적 조사 자료를 활용한다. 융합연구로써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각 분야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경제전문가는 우리나라의 경제 동향 및 솔로 이코노미의 신산업 전망, 의학전문가는 질병발현에 식사행태가 미치는 영향, 문화인류학자는 식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양전문가는 혼자 식사에 대한 영양분균형, 식행태 관련 내용 등의 자문을 통하여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모으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솔로이코노미 증가에 따른 이들 식행태 변화가 만성질환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예측함으로써, 추후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한 건강 고려사항 및 신산업의 생활 환경요소 변화의 예측자료로 활용 가능할것이다 

 

선정년도

 2015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조필규

연구수행기관

 한밭대학교

공동연구원 현황

 박소현(한양대학교), 오유진, 주영하(한국학중앙연구원)

원문

 [원문으로 이동]

리포터 by 관리자
[저작권자 한국연구재단 융합연구총괄센터 ,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 소스보기 
목록
- 이전글 : EEG, HRV, 주관적 평가척도를 통합한 노인 인지·정신건강 평가도구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2017-12-01 16:02:52
- 다음글 : 1인 노인가구의 공간복지 증진을 위한 고령친화도시 전략 2017-12-01 16:05:53
전체목록
번호 제목 등록인 등록일 추천수 조회수 비고
265 2021년의료기관이 공공성과 수익성의 관계 분석...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279 2224
264 2021년서술형 문항의 빠른 평가와 피드백을 위한 범용...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302 2248
263 2021년인공신경망 기반의 레그테크 강화학습 알고리즘 ...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119 979
262 2021년미래의 도시 공동체를 위한 인터싸이언스 - 환대...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282 2056
261 2021년노년층 면역 강화와 우울 극복을 위한 노마드 오... 융합연구총괄센터 2022-04-20 162 1022
260 2020년센서 알고리즘을 활용한 효과적인 팀 상호작용 ...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127 1812
259 2020년고령운전자의 안전과 삶의 질: 빅데이터 기반 사...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159 937
258 2020년IoT 정밀 측위기술 및 공간분석이론을 적용한 유...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150 1027
257 2020년ICT 융합을 통한 지역사회 우울증 예측과 해소방...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189 1070
256 2020년노인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시스... 융합연구총괄센터 2020-09-22 156 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