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세 가지의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대중의 가치를 읽어내는 빅 데이터 여론 분석 프레임워크 제안: 데이터 획득 및 정보 추출, 여론 진화 과정 분석 기술, 이머징 이슈의 전조 현상 탐지 및 분류 기술, 사회적 가치 도출 및 추천 기술, 분석 결과의 함의 도출 및 평가 기술의 5가지 요소로 구성된 프레임쿼크를 본 연구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하여 후속 연구에서 구현되도록 한다. (2) 프레임워크 요소 기술 도출 및 타당성 검증: 프레임워크 구성 요소별로 기술 수요 조사, 문헌 사례 조사, 기술 지식 맵, 기술 로드 맵, 비용편입 분석, 계층 분석적 의사 결정 방법으로 검증하여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형태를 수정 및 보완한다. 프레임워크에서 요구되는 구성 요소 기술을 도출하기 위한 기술 수요 조사는 설문조사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여론 분석의 실수요자 및 여론 분석을 수행 중인 전문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문헌 사례 조사는 기존의 성공사례를 통해서 SNS분석의 성공요인을 이해하고 필요성이 높은 분야를 선정한다. 기술 요소들의 현황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 지식 맵은 빅데이터 기반 여론 분석 기술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동시단어출현 기반으로 구축하며, 기술 로드 맵은 프레임워크의 구성 요소 기술들을 수요의 측면에서 어떤 기술들이 미래 경쟁력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비용편익 분석과 계층 분석적 의사 결정 방법으로 재구성된 프레임워크의 타당성을 일부를 구현하여 시범 모델로 검증한다. (3) 제안 프레임워크를 공공 분야와 민간 분야에 적용한 시범 모델을 개발하여 제안 프레임워크의 실현 가능성 검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