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1차년도 (2020)
1.1.1. 복합 치주 조직을 만들 위한 줄기세포 배양체 방법 확립
(1)Microwell (2)Hanging-drop (3)Bioreactor (4)Bioprinting
각 방법에 따른 3차원 배양체 만드는 효율과 형태 조절 가능성 및 형태 안정성을 평가함
1.1.2. 복합 치주 조직의 배양 조건 확립
◦ 다양한 배양 조건을 적용하여 복합 치주조직의 배양 가능성을 평가함.
1.1.2. 복합 치주 조직체의 따른 생활력 평가
(1)복합 치주 조직체의 배양시기에 따른 형태학적 평가
(2)복합 치주 조직체의 cell-to-cell interaction을 분석
(3)복합 치주 조직체의 생활력 증진이 가능한 인자 발굴
1.1.2. 복합 치주 조직체의 따른 분화능 평가
(1)복합 치주조직의 각각 조직학적 특성 유지 가능성 평가
(2)복합체의 각 부위에 따른 분화 상태 평가
(3)분화와 관련된 유전자 조사: collagen, proteoglycan, bone sialoprotein, osteopontin, ostecalcin
1.1.3. 복합 치주 조직체의 기능 개선을 위한 형질 도입에 대한 연구
1.2. 2차년도 (2021)
1.2.1. 복합 치주 조직과 기존의 비계를 동반한 줄기세포 배양체와의 비교 연구
(1)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경조직 및 연조직 결손 모델을 형성
(2)복합 치주 조직체의 적용 가능성 및 이식 생착율 평가
(3)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
(4)조직계측학적 평가
1.2.2. 활용 가능한 세포 소스 평가
(1)치주유래 줄기세포 활용
(2)골수유래 줄기세포 활용
(3)분화 정도에 따른 면역반응 관찰
(4)Passage와 배양 condition에따른 특성 평가
1.2.3. 복합 치주 조직 기능 개선을 위한 인자 개발
(1)복합 치주 조직의 기능 향상을 위한 인자 개발
(2)개발한 인자의 적용을 위한 전달체 개발
(3)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
(4)조직계측학적 평가
1.3. 3차년도 (2022)
1.3.1. 다양한 결손부 모델에 적용 가능한 복합체 개발
(1)골조직 재생을 위한 배양체
(2)연조직 재생을 위한 배양체
(3)골조직과 연조직을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배양체
(4)다양한 세포 소스를 활용한 효능 비교
1.3.2. 관련 기전 연구 RNA sequencing을 통한 gene 발현 연구
(1)관련 mechanism 규명 가능
(2)qPCR과 Western blot을 통한 검증
(3)추후 modification이 가능한 target 선정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