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1-3차년도)에서 난청치매 언어청각 평가도구 표준화 및 신경학적 기전을 연구하고, 2단계(4-5차년도)에서 언어청각 중재 및 생체신호 모니터링을 적용 및 효과 검증 연구를 진행한다.
- 1차년도: 단어수준 의미 및 음운처리 과제, 문장수준 통사처리 과제로 구성된 언어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말초 및 중추 청력 검사를 개발하여, 한국어 특징을 반영한 언어학적 단위 별 평가 패러다임을 구축한다. 또한, 난청-치매 동물 모델을 개발하여 동물의 청력 및 인지 기능 검사를 위한 프로토콜을 확립하여 청력-인지 기능 표준모델을 구축한다.
- 2차년도: 1차년도에서 개발한 검사도구로 연령별 기초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난청 치매 한국형 언어청각 평가도구를 표준화한다. 1차년도에서 개발한 난청-치매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청력 및 인지기능의 변화를 측정하고, 전기생리학적 분석을 통해 인지 저하에 관여하는 신경학적 기전을 연구한다.
-3차년도: 2차년도에서 표준화한 검사도구를 난청치매 고위험군인 노인성 난청군, 경도인지장애군, 치매군에게 적용하여 표준화를 실시한다. 또한 실험동물의 청각 재활을 위한 초소형 동물용 인공와우 시스템을 개발하고, 청각 신경 회로와 인지 관련 영역과의 기능적 네트워크 관계를 분석한다.
-4차년도: 언어청각 진단 프로파일에 근거한 난청치매 고위험군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난청치매 고위험군을 보청기 착용 유무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언어청각 중재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한다. 또한 language-EEG, 시선추적기법 및 동공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패러다임을 개발하여 시범 적용한다.
-5차년도: 4차년도에서 개발한 중증도별 맞춤형 언어청각 중재 프로그램과 생체신호 모니터링 패러다임을 난청치매 고위험군에게 적용하여, 중재 여부에 따라 언어치료 효과 및 language-EEG, 시선추적, 동공측정 시스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